3일 발표된 여론조사기관 여론조사 꽃의 11월 1주 차 정기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동반 상승했다. 아울러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관세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것에 대해선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란 여론이 60% 안팎을 기록했고 핵 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을 받은 것 역시 80%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먼저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평가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긍정 62.5%, 부정 35.4%를 기록해 긍정평가는 전 주 대비 3.7%p 급등한 반면 부정평가는 전 주 대비 4.6%p 급락했다. 전화면접조사 역시도 긍정 69.1%, 부정 29.2%를 기록해 긍정평가는 전 주 대비 3.9%p나 급등한 반면 부정평가는 전 주 대비 4.2%p 급락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긍정평가가 과반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텃밭인 호남의 경우 긍정평가가 70%를 초과하며 전국을 통틀어 가장 높았고 수도권(서울, 인천·경기), 강원·제주에서도 긍정평가가 60%를 초과했다. 반면 대구·경북에선 47.5% : 46%로 긍정과 부정이 거의 비슷했다.
전화면접조사의 경우에도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긍정평가가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텃밭인 호남의 경우 긍정평가가 87.5%를 기록하며 전국을 통틀어 가장 높았고 인천·경기와 강원·제주에서도 긍정평가가 70%를 초과했다. 그 밖에 서울과 부울경, 충청권 역시도 긍정평가가 60%를 초과했다. 반면 대구·경북의 경우 50.4% : 48.6%로 긍정과 부정이 거의 비슷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18세 이상 20대를 제외한 모든 세대에서 긍정평가가 과반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핵심 지지층인 40대와 50대에선 모두 긍정평가가 70%를 초과했고 그 중에서도 50대의 경우 80%에도 육박했다. 60대와 70대 이상 노년층 역시도 긍정평가가 60%를 초과했다. 반면 18세 이상 20대의 경우 유일하게 부정평가가 더 높았다.
전화면접조사의 경우엔 모든 세대에서 긍정평가가 과반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핵심 지지층인 40대와 50대에선 모두 긍정평가가 80%를 초과하며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고 30대와 60대에서도 긍정평가가 60%를 초과했다. 그 밖에 18세 이상 20대와 70대 이상 노년층 역시도 긍정평가가 과반 이상을 기록했으나 다른 세대에 비해선 그 정도가 낮았다.
정당 지지율의 경우 ARS 자동응답조사에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54.1% 지지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지켰고 야당인 국민의힘은 32.6%에 그치며 2위에 머물렀다. 민주당은 전 주 대비 2.5%p 더 상승한 반면 국민의힘은 전 주 대비 3.6%p 급락하며 양당 간 지지율 격차는 21.5%p 차로 크게 벌어졌다. 그 밖에 조국혁신당이 3.8%, 진보당이 1.4%, 개혁신당이 2.9%를 기록했다.
전화면접조사에서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54.6% 지지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지켰고 야당인 국민의힘은 28.6%에 그치며 2위에 머물렀다. 민주당은 전 주 대비 2.1%p 더 상승한 반면 국민의힘은 전 주 대비 1.6%p 하락하며 양당 간 지지율 격차는 26%p 차로 크게 벌어졌다. 그 밖에 조국혁신당이 1.6%, 진보당이 0.5%, 개혁신당이 2.3%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민주당은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우세를 점했다. 특히 텃밭인 호남의 경우엔 민주당 지지율이 60%도 초과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어느 지역에서도 우세를 점하지 못했고 대구·경북의 경우 40.3% : 43.7%로 양당 지지율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화면접조사에서도 민주당은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우세를 점했다. 특히 텃밭인 호남의 경우엔 민주당 지지율이 80%에 육박했고 수도권(서울, 인천·경기)과 충청권에서도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오직 텃밭인 대구·경북에서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민주당은 40대 이상 세대에서 모두 과반 이상의 지지율로 우세를 점했다. 특히 핵심 지지층인 40대와 50대에선 모두 민주당 지지율이 70% 안팎을 기록했고 60대와 70대 이상 노년층에서도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30대에선 민주당이 소폭 더 앞섰고 국민의힘은 오직 18세 이상 20대에서만 우세했다.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민주당은 18세 이상 20대와 70대 이상 노년층을 제외한 모든 세대에서 과반 이상의 지지율로 우세를 점했다. 특히 핵심 지지층인 40대와 50대에선 모두 민주당 지지율이 70%를 초과했고 30대와 60대 역시도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반면 18세 이상 20대의 경우 양당 지지율이 정확히 동률이었고 국민의힘은 오직 70대 이상 노년층에서만 우세했다.
정치 성향별 결과를 살펴보면 민심의 풍향계로 꼽히는 중도층의 경우 ARS 자동응답조사에선 52.9% : 30%, 전화면접조사에선 58.7% : 21.3%로 모두 민주당이 과반 이상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국민의힘을 크게 앞서 여전히 중도의 민심은 민주당에 기울어 있음을 보여줬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타결된 관세협상을 놓고 일본 등 다른 나라에 비해 결과가 어떻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의견 조사에선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다'가 57.9%, '국익을 내준 실패한 협상이다'가 29.6%를 기록했고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다'가 63.9%, '국익을 내준 실패한 협상이다'가 24.6%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두 조사 모두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다'는 평가가 더 앞섰다. 특히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대구·경북과 충청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다'는 평가가 과반 이상이었으며 전화면접조사의 경우에도 역시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다'는 평가가 과반 이상이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18세 이상 20대를 제외한 모든 세대에서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다'는 평가가 더 우세했고 전화면접조사에서는 모든 세대에서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다'는 평가가 더 우세했다.
지지 정당별 결과를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선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었다'가 우세한 반면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지지층에선 '국익을 내준 실패한 협상이다'가 더 우세했다. 진보당 지지층의 경우 '잘 모름'이 가장 높았다.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 지지층에선 '국익을 지킨 성공적인 협상이었다'가 우세한 반면 개혁신당 지지층에선 양쪽이 거의 비슷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국익을 내준 실패한 협상이었다'가 더 앞섰다.
이어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핵 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을 받아낸 것에 대한 평가에선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긍정 80.3%, 부정 15.3%를 기록했고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긍정 87.2%, 부정 9.4%를 기록해 두 조사 모두 긍정평가가 80%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조사 모두 지역별, 연령별 결과를 막론하고 긍정평가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지 정당별 결과에서도 긍정평가가 과반 이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이나 세대, 정파를 불문하고 이번 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다만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긍정평가가 51.5%에 그쳐 다른 정당 지지층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치를 기록해 아직 이들이 정파적 시각에 갇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한중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한 질문에는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공감 66.5%, 비공감 29.6%를 기록했고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공감 72.3%, 비공감 26.1%를 기록해 두 조사 모두 한중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공감하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두 조사 모두 한중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공감하는 여론이 과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령별 조사에선 두 조사 모두 18세 이상 20대에서만 한중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공감하지 않는 여론이 과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최근 이 세대에서 중국을 혐오하는 성향이 높은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지 정당별 결과를 살펴보면 두 조사 모두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 지지층에선 한중관계 개선 필요성 주장에 공감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비공감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편, 개혁신당 지지층의 경우 ARS 자동응답조사에선 양쪽이 비슷하게 나온 반면 전화면접조사에선 공감이 더 높았다.
극우 단체들이 벌이는 혐중 시위가 국익과 품격을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에 대한 의견 조사에선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공감 64.2%, 비공감 31.8%를 기록했고 전화면접조사에서도 공감 65.4%, 비공감 32%를 기록해 두 조사 모두 혐중 시위가 국익과 품격을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에 공감하는 여론이 2배 이상 더 높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극우 단체의 혐중 시위가 국익과 품격을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에 공감하는 여론이 과반 이상으로 나타났고 전화면접조사에선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과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18세 이상 20대에서만 비공감이 과반 이상이었고 전화면접조사의 경우에도 18세 이상 20대와 70대 이상 노년층에서만 양쪽이 비슷했다.
지지 정당별 결과를 살펴보면 두 조사 모두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 지지층에선 극우 단체들의 혐중 시위가 국익과 품격을 훼손하고 있다는 주장에 공감한 반면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지지층에선 비공감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역시 국민의힘이 지도부 차원에서도 혐중 발언을 늘어놓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판사나 검사들이 증거를 조작하거나 사실 관계를 왜곡할 경우 형사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이른바 법 왜곡죄 도입에 대한 찬반 여론조사에선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찬성 72.4%, 반대 21.7%를 기록했고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찬성 81.6%, 반대 15.8%를 기록해 두 조사 모두 찬성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그만큼 법조계에 대한 불신이 상당함을 보여준다.
두 조사 모두 지역별, 연령별 모두를 막론하고 찬성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국민 전반적으로 만연한 사법불신의 현실을 다시 한 번 보여줬다.
지지 정당별 결과를 살펴보면 두 조사 모두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진보당 지지층에선 법 왜곡죄 도입에 찬성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반대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편, 개혁신당 지지층의 경우 ARS 자동응답조사에선 반대가 높게 나온 반면 전화면접조사에선 찬성이 더 높았다.
이번 여론조사 꽃의 정기여론조사는 ARS 자동응답조사의 경우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1명을 대상으로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양일 간 실시했다. 조사 방법은 무선 100% RDD 활용 ARS 자동응답조사이며 응답률은 1.9%이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p이다.
전화면접조사의 경우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양일 간 실시했다. 조사 방법은 통신3사 제공 무선가상번호 활용 CATI 전화면접조사이며 응답률은 10.7%이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p이다. 자세한 조사 내용과 결과에 대해선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출처 : 굿모닝충청(https://www.goodmorningcc.com)